비만외과

비만도측정
체질량 지수 (body Mass Index, BMI)

체질량지수는 체중과 신장의 관계를 말하며, 표준 체중보다 체지방량을 더 정확하게 반영합니다. 체중을 신장의 제곱으로 나눈 값으로 가장 이상적인 체질량지수는 22정도이며 25이상이면 비만으로 판정합니다.

체질량지수 분류 표
분류 BMI(kg/m²) 합병증 유발 위험도
저체중 <18.5 낮음
정상범위 18.5-22.9 보통
과체중 23< 약간 증가
위험체중 23-24.9 증가됨
1단계 비만 25-29.9 중증도
2단계 비만 30< 매우 심함

체중은 하루에도 시간에 따라 변동이 있기 때문에 항상 동일한 시간에 동일한 조건으로 측정해야 비교 가능합니다. 금식 후(8시간 정도) 아침에 소변을 본 후 가벼운 옷차림으로 측정하는 것이 좋으며 가임 여성의 경우 월경 주기로 인하여 1-2kg 정도 변화될 수 있다는 점을 감안하고 측정해야 합니다.

복부비만 측정법

지방이 주로 상체에 축적된 비만을 복부 비만 또는 남성형 비만이라고 하는데, 당뇨병, 고혈압, 고지혈증 같은 비만의 합병증 복부 비만과 밀접한 관계가 있습니다.

  1. 복부지방률
    • 복부비만 = 허리둘레÷엉덩이둘레로 계산하며 남성은 0.90이상, 여성은 0.85이상이면 복부 비만으로 진단합니다.
  2. 허리둘레
    • 허리는 배꼽선의 둘레를 측정하고, 엉덩이는 가장 둘레가 큰 부위를 측정하면 됩니다. 남자는 90cm이상, 여자는 85cm이상(2006 대한비만학회)일 때 복부 비만으로 정의합니다.